수도권 광역지표란?
수도권 광역지표의 의의
지표체계와 구성
○
광역지표란 광역 지역을 단위로 해당 광역의 상태와 변화를 통계자료에 근거한 수치로 요약해서 보여주는 것입니다.
수도권 광역지표는 행정구역(서울, 경기, 인천) 위주로 작성된 기존 통계지표의 한계를 보완하여, 우리나라 최대 대도시권이자 광역 생활권인 수도권 단위로 작성된 통계지표입니다.
수도권 광역지표는 행정구역(서울, 경기, 인천) 위주로 작성된 기존 통계지표의 한계를 보완하여, 우리나라 최대 대도시권이자 광역 생활권인 수도권 단위로 작성된 통계지표입니다.
수도권 광역지표의 의의
○
지방자치 확립으로 지역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지만 특정 지역 단위에서만 해결할 수 없는 문제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또한, 수도권에서 경제활동 등 다양한 기능 간의 상호의존도가 높아져서 도시로부터 인접도시들이 연결된 광역(Megapolis)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
이러한 광역권내 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 추진시 그 결과를 평가하고 환류할 수 있는 증거가 필요한 바, 수도권 광역지표가 그 측정 도구가 될 것입니다.
○
이로써 지자체, 지역연구기관, 지역 시민은 증거기반의 정책 의사결정과 의사소통에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 궁금하신 사항이나, 정보 바로잡기 문의는 전화 02-2110-7762, 7771로 연락바랍니다.
※ 궁금하신 사항이나, 정보 바로잡기 문의는 전화 02-2110-7762, 7771로 연락바랍니다.
지표체계와 구성
○
수도권 광역지표는 경쟁력지표, 발전지표, 생활지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경쟁력지표-발전지표-생활지표 간의 관련성은 아래 그림과 같습니다.

○
지표는 총 3개 부문, 11개 영역, 27개 하위영역, 103개 지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